휴리스틱 정의
휴리스틱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휴리스틱이란?
어떤 사안 또는 상황에 대해 엄밀한 분석에 의하기보다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즉흥적 또는 직관적으로 판단하여 선택하는 의사결정 방식을 의미합니다.
'찾아내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heuriskein'이 그 어원이다. 사전적으로 아무런 정보 없이 행하는 의
사결정을 의미하는 어림짐작(wild guess, rule of thumb)과는 미묘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는 동일시 합니다.
이 방식이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는데 생존과 빠른 의사결정에는 참 유리합니다.
정글에 살았던 우리 조상들은 생존본능에 충실했는데
언제 위협이 닥쳐올지 몰라 빠르게 맹수의 여부를 판단했고
우리 뇌는 생존을 위해 빠르게 판단하도록 진화해 왔죠.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초 단위로 생 사의 여부가 결정됩니다.
만약 우리 뇌가 컴퓨터처럼 알고리즘으로 작동했다면, 조상들은 생존하지 못했을
것인데 왜냐하면 알고리즘은 순차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라네요.
호랑이 냄새? Yes/No
호랑이 소리? Yes/No
이렇게 맹수의 여부를 알고리즘 순서대로 계산하기엔 너무 늦지요. 계산하다가 이미 먹히고 말았을 것이고 실제로 맹수 앞에서 멍 때리며 길게 생각하던 종자는 모두 자연 소멸 했을 겁니다.

정글의 유산이 현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생활 속에서 우리에게 여전히 강력 한 힘을 발휘합니다.
장점은 일상적 선택에서 지나치게 고민하지 않게 해 주고 또한
삶에서 만나는 복잡한 결정을 내릴 때 매우 유용하죠.
휴리스틱 종류와 예시
1.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 어떤 사건이나 사물의 전형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 예: 한 사람이 특정 직업이나 성격 유형을 가질 가능성을 그 사람이 그 직업이나 성격의 전형적인 특징을 얼마나 잘 나 타내는지에 따라 판단.
2. 가용성 휴리스틱 (Availability Heuristic)
- 최근 기억이나 쉽게 떠오르는 예시를 바탕으로 사건의 확률이나 빈도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 예: 뉴스에서 자주 보도된 사건을 실제로는 드문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
3. 닻 내림 휴리스틱 (Anchoring Heuristic)
- 초기 정보나 첫인상에 크게 의존하여 최종 결정을 내리는 방법입니다.
- 예: 처음 제시된 가격을 기준으로 가격 협상을 진행할 때 초기 가격이 닻이 되어 협상 결과에 영향을 미침.
4. 기준 휴리스틱 (Recognition Heuristic)
- 인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는 방법입니다.
- 예: 둘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인지된 항목을 더 선호하는 경향.
그밖에 다양한 예가 존재합니다.
휴리스틱 오류
휴리스틱의 예, 도박꾼의 오류
잘 알려진 휴리스틱 접근의 오류로는 '도박사의 오류(Gambler's fallacy)'가 있다.
카지노에서 룰렛 게임을 한다고 하자. 검은색과 빨간색이 반씩인 룰렛을 10번 돌렸을 때, 10번 모두 빨간색이 나왓 다고 한다. 11번째에는 무슨 색이 나올까? 대개 검은색에 돈을 걸게 된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판단이다.
여전히 빨간색이 나올 수 있다.
11번째 룰렛 돌리기가 앞서의 룰렛 돌리기와 독립적이고, 앞서의 결과가 11번째 결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휴리스틱의 예, 고정관념
고정관념이 오류의 원인이다 이와 같이 엄밀한 판단을 위해 실제로는 부족한 정보인데도 충분한 대표성이 있다고 믿어 일어나는 판단 오류를 ‘대표성 휴리스틱(representativeness heuristic)'이라고 한다.
흔히 고정관념이 대표성 휴리스틱을 일으킨다.
예컨대, 평일 오전 8시 30분에 등산복 차림으로 지하철을 탄 중년남자에게서 술 냄새가 풍긴다고 하자. 이 남자의 직업은 무엇일까? 이 아저씨, 직업이 뭘까?
'평일 출근 시간', '등산복', '술 냄새'라는 제한된 정보로 “그래, 조기 명퇴자! 요즘 뉴스에 많이 나오잖아.”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만약 마트를 간다고 했을 때 이 장점으로 모든 품목을 일일이 보지 않고, 이전에 여러 번 산 적이 있는 브랜드를 찾아냅니다.
하지만 익숙함의 덫으로 시식하려고 길게 늘어서 있는 줄에 자기도 모르게 서게 되고
굳이 살 필요가 없는 만두 봉지를 카트에 집어던지는 것도 이런 휴리스틱 작용의 하나라네요.
사실 그 만두 한 봉지의 가격은 약간의 할인이 적용될 순 있으나 꼼꼼히 따져보면 무게나 용량을 줄여서 나오는 할인 전용 상품인 경우가 많지요.
무언가 공짜로 준다면 거기에 반드시 숨겨진 꼼수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는 유명한 말.
같은 실수는 이전에도 했던 실수일 것입니다. 이미 호되게 당했는데도 똑같은 실수를 한다는 것이죠.
모든 건 정당한 대가를 치르고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마인드를 장착하셔서 줄 서서 무료 이벤트는 바라지 맙시다.
공짜 이벤트를 자주 하는 이면을 들여다보시고
우린 휴리스틱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합니다.^^
'자기개발 , 책후기, 영화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0) | 2024.06.25 |
---|---|
해외여행 무료 오디오북 (오디언 도서관)을 아시나요? (0) | 2024.06.18 |
인사이드 아웃2 ( 감정의 스펙트럼) (0) | 2024.06.17 |
될 일은 된다 - 마이클 A. 싱어 (2) | 2024.06.15 |
운을 읽는 변호사-니시나카 쓰토무 (4)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