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토 ( 戊土)
무토(戊土)의 의미와 상징
무토(戊土)는 무성할 무(茂)에서 유래하며, 극히 무성해진 시기를 의미합니다. 무토의 상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연: 높은 산, 산토(山土), 산성(山城), 성토(城土), 큰 농장, 저녁노을, 안개
- 사회: 학교, 운동장, 큰 놀이터, 시장
- 신체: 위장, 옆구리, 어깨, 가슴, 표피, 코, 횡경막, 피막, 얼굴, 허리
- 지역: 중앙, 중동
- 기타: 황색, 농기구
하늘에서는 안개(霧)와 노을(霞)을, 땅에서는 양토(陽土)로서 대지를 품에 안은 높고 큰 산과 넓은 벌판, 제방과 운동장, 넓은 광장이나 황야, 언덕, 성곽, 축대를 상징합니다. 이는 높고 넓으며 굳어 있는 고토(固土)와 마른 땅 조토(燥土)를 의미합니다.
무토의 시기와 작용
무토(戊土)의 시기는 양(陽)의 작용이 마무리되는 곳으로, 화기(火氣)가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게 하는 수렴작용이 시작되는 때입니다. 이는 화(火)의 작용력을 멈추고 정지시키는 시기입니다. 양(陽)의 기운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무토에 이르면 정적인 상태로 양의 기운이 머무르게 되며, 무토는 동중정(動中靜)으로 적극적이지 않아 보이지만 내면에서는 활발한 양적인 작용이 이루어집니다.
- 진토(辰土): 목(木)의 시간적 작용이 화(火)의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기
- 술토(戌土): 금(金)의 기운을 수(水)로 바꾸기 위한 단계
진에 뿌리를 둔 무토는 화를 이루려는 양적인 무토, 술토에 뿌리를 둔 무토는 금의 기운을 수로 변화시키려는 음적인 작용의 토입니다.
무토의 작용과 상징
- 목(木)이 많아 약해지면: 관(官)을 감당하지 못하여 비굴한 토가 됩니다.
- 금(金)이 많아 약해지면: 할 일은 많으나 인정을 받지 못합니다.
- 수(水)가 많으면: 공덕을 인정받으나 목(木)의 도움이 없으면 본신이 위험합니다.
- 화(火)가 치열하면: 수렴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화에 동조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무토는 동방(寅木)에서 丙火와 함께 출현하고 서방(西方)에 해가 질 때 소멸하여 노을로 보이며, 지상에서는 산으로 보입니다. 노을 무렵에 비가 내리면 오색찬란한 무지개가 생기는데, 이는 음(癸水)과 양(丙, 戊土)이 맞서기를 좋아하는 때문입니다. 사주에 戊日에 癸水를 만나면 인물이 준수하고 격이 높으면 문명을 열고 천하를 아름답게 할 귀명이 됩니다.
무토의 직업과 신체, 질병
- 직업: 무역, 중개인, 상담사, 의사, 시인, 노동, 시장, 격투기
- 신체: 표피, 코, 횡경막, 피막, 얼굴, 허리, 가슴
- 질병: 갈비뼈, 위장질환, 당뇨, 가슴앓이, 종양, 습진, 건성피부
무토의 상징적 의미
무토의 상은 높은 산이나 고원, 지평선, 초원과 같은 대지와 관련되며, 외부적 구역, 단체, 노동쟁의, 온도 조절 작용, 중개자 역할을 나타냅니다. 또한 중간에 끼어드는 역할이나 비서, 참모 역할을 하며, 투쟁성, 도전 정신을 상징합니다.
무토의 본질과 심리
무토는 생명력 활동 혹은 존재의 중력 공간을 상징합니다. 이는 생명의 의지처, 인력, 중력을 의미합니다. 무토의 심리는 고독하고 신비하며 초현실적이고 비현실적입니다. 종교 수행자, 학문적‧철학적 기질과 특성을 가지며, 큰 스케일의 사고를 합니다. 타인이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성격이며, 은근한 재물 욕심이 있고 혼자 고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무토의 사회적 역할
- 높은 산: 나무를 길러야 제격이며, 책임감이 강하고 신용이 있으며 꼼꼼합니다.
- 큰 산의 흙: 듬직하고 무게가 있으나 고집이 세며, 무뚝뚝합니다. 속을 알기 어려워 이중 성격의 경향이 있습니다.
이처럼 무토는 대지를 품은 높은 산처럼 든든하고 안정적이지만, 고독하고 내면의 열정을 감추기 어려운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무토의 특성을 이해하면, 무토인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무토의 특성과 강약 )
①戊土는 통근처만 있으면 壬을 제압할 수 있다.
②戊土는 득령 유무에 따라 강약이 대분된다.
③戊土의 통근처는 습도가 조절되는 辰이 가장 양호하다.
④戊土가 강하면 설기가 최선이요 극제는 차선이다.
( 무토와 오행의 관계 )
戊:木 戊는 甲을 甲은 戊를 서로 극하나 작용력은 약하며
戊는 乙을 생하는 경우가 있다.
戊:火 戊는 丙에게 피극되며 丁을 조절하는 특징이 있다.
戊:土 戊가 약하면 己보다 戊를 기뻐하며
戊는 己를 강하거나 약하게 조절한다.
戊:金 戊는 金을 생하나 설기당하는 경우도 있다.
戊:水 戊는 통근하여 강하면 壬을 제압하지만
壬癸가 같이 있으면 제압이 불가능하다.
( 무토와 십간 배합의 희기 )
戊甲 거석압목(巨石壓木) 주관이 약하여 대성하기가 어렵다.
강건하고(剛健下固) 희신이면 고생 끝에 성취를 보게 된다.
戊乙 청룡합령(靑龍合靈) 윗사람의 도움이 있고 청원이 순조롭다.
戊丙 일출동산(日出東山) 처음은 고단하나 후에 크게 발전한다.
戊丁 유로유화(有爐有火) 기획이나 업무처리가 탁월하여 성공한다.
戊戊 복음준산(伏吟峻山) 외화내빈에 고집이 과강한 단점이 있다.
광활지현(廣闊地玄) 희신이면 대지처럼 불변의 기상이 있다.
戊己 물이유취(物以類聚) 내면을 나타내지 않으며 융합도 불량하다.
戊庚 토윤생금(土潤生金) 희신이면 옥토의 암반으로서 길의가 있다.
戊辛 반음설기(返吟洩氣) 참견태심 등의 식상적 흉의가 있다.
戊壬 산명수수(山明水秀) 지능을 활용하여 대성할 가능성이 있다.
암석침융(岩石浸融) 기신이면 인색태심에 범람의 흉의가 있다.
戊壬丙 산명수수강상영(山明水秀江相映) 비상한 두뇌로 대성한다.
戊癸 암석침융(岩石浸融) 매우 인색하여 큰 성공이 어렵다.
해갈지기(解渴之氣) 희신이면 가뭄 끝에 단비라는 뜻이 있다.
'사주 명리 , 타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론 - 경금 ( 庚金) (2) | 2024.06.20 |
---|---|
천간론 - 기토(己土) (2) | 2024.06.19 |
천간론 - 정화 ( 丁火 ) (0) | 2024.06.17 |
천간론- 병화 (丙火) (2) | 2024.06.16 |
타로카드의 기원 (2) | 2024.06.15 |